퇴직금 계산 예시와 세금 줄이는 꿀팁

이미지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궁금해하는 것이 바로 퇴직금입니다.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근무 후 회사를 떠날 때 지급받는 중요한 권리인데요. 그러나 계산 방식이나 세금 부과 방법은 의외로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퇴직금 계산 예시와 함께 실제로 세금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퇴직금 계산 기본 공식 퇴직금은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365)**라는 기본 원칙을 따릅니다. 여기서 핵심은 ‘평균임금’을 어떻게 산정하느냐인데, 이는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총 임금(기본급 + 상여금 + 수당 등)을 해당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한 근로자가 최근 3개월 동안 총 900만 원을 받았다면, 이를 90일로 나누면 평균임금은 10만 원이 됩니다. 따라서 1년(365일)을 근속한 경우 퇴직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평균임금: 10만 원 30일분 임금: 300만 원 근속기간 1년 → 300만 원이 퇴직금 만약 5년간 근속했다면 단순히 300만 원 × 5년 = 1,500만 원이 됩니다. 2. 퇴직금 계산 예시 (실제 상황 가정) 가령 A 씨가 회사에서 7년간 근무했고, 최근 3개월 동안 받은 총 임금이 1,200만 원이라고 해보겠습니다. 평균임금 = 1,200만 원 ÷ 90일 = 약 13만 3천 원 30일분 임금 = 약 399만 원 근속연수 7년 → 399만 원 × 7년 = 약 2,793만 원 즉, A 씨가 수령할 퇴직금은 약 2,800만 원 수준입니다. 3. 퇴직금에 부과되는 세금 구조 퇴직금은 일반 급여와는 다른 방식으로 과세됩니다. 퇴직소득세라는 별도 세금이 적용되며, 계산 과정에서 근속연수에 따른 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즉, 오래 근무할수록 세금 부담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퇴직소득세 계산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퇴직금 총액 산출 퇴직소득공제(근속연수별 공제) 적...

비상장 주식 투자로 창업 자금 마련하는 법

비상장 주식 투자로 창업 자금 마련하는 법 (2025 가이드)

비상장 주식 투자로 창업 자금 마련하는 법 (2025 가이드)

초기 자본이 부족한 예비 창업자라면, 소액으로 시작할 수 있는 비상장 주식 투자로 종잣돈을 마련해볼 수 있습니다.

비상장 주식이란?

비상장 주식은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기업의 주식을 말합니다. 주로 스타트업, 중소기업 등이 여기에 해당하며, 고위험·고수익 구조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에는 크라우드펀딩, 사모 플랫폼 등을 통해 일반 투자자도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왜 창업 전에 비상장 투자인가?

  • 소액 투자 가능: 10만 원부터 시작 가능한 투자처도 있어 자본금 축적 수단으로 적합합니다.
  • 고수익 가능성: IPO(상장) 또는 M&A(인수합병) 시 수익률 수십 배 실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사업 감각 향상: 유망 스타트업의 사업모델을 분석하면서 실제 창업 아이디어 발굴에도 도움이 됩니다.

2025년 주요 비상장 투자 플랫폼

  • 서울거래소 비상장: 국내 대표 비상장 거래 플랫폼, 1:1 직거래 및 인증 시스템 제공
  • 엔젤리그(Angel League): 공동 투자 조합을 통해 스타트업 지분 투자 가능
  • 오픈트레이드: 크라우드펀딩 방식으로 소액 투자 가능, 중소기업 중심
  • Unicorn Exchange: 글로벌 스타트업 대상, 달러 기반 투자 가능

※ 모든 플랫폼은 사전 본인인증 및 투자성향 진단을 요구합니다.

비상장 투자로 창업 자금 마련하는 실전 전략

1. 성장성 있는 기업 선별

투자 대상 기업은 시리즈A 이상 투자 유치 경험, 실적이 있는 비즈니스 모델, 상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군에 속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IT SaaS, 바이오, 모빌리티, 친환경 에너지 등은 2025년 기준 유망 분야입니다.

2. 중기 투자 관점 유지

비상장 투자는 3~5년의 락업(자금 묶임) 기간을 감수해야 합니다. 단기 수익보다는 장기 자본 축적 수단으로 접근해야 안정적입니다.

3. 분산 투자 원칙

한 기업에 몰빵하기보다는 여러 유망 스타트업에 분산 투자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각 투자처에 10만~50만 원씩 분산해도 수익 기회는 존재합니다.

4. 출구 전략(Exit)을 고려한 투자

상장(IPO), 인수합병(M&A), 제3자 매각 등 회수 가능성 높은 기업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플랫폼에서는 Exit 가능성 평가 자료를 제공하는 경우도 많으니 반드시 확인하세요.

주의할 점: 고수익엔 항상 고위험이 따른다

  • 비유동성 위험: 상장 전까지는 주식을 현금화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정보 비대칭: 비상장 기업은 공시 의무가 없기 때문에 정확한 재무 정보 부족에 주의해야 합니다.
  • 허위 정보 또는 사기: 검증되지 않은 SNS 기반 투자 정보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투자 전에는 반드시 투자설명서, IR 자료, 감사보고서 등을 꼼꼼히 검토하고, 가능하면 전문가 의견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공적인 창업으로 연결하는 방법

비상장 투자를 통해 자본을 축적한 후에는 그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창업 아이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스타트업 투자 경험은 비즈니스 모델의 강약점 파악, 시장 분석 능력, 네트워킹에 도움이 되므로 창업자에게 큰 자산이 됩니다.

투자 수익을 단순히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초기 사업비(법인 설립, 마케팅, MVP 개발 등)에 재투자하는 것이 장기적인 성공 전략입니다.

※ 본 글은 2025년 기준 금융위원회와 주요 투자 플랫폼의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비상장 투자는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으며,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류진 회장, 한국경제인협회 연임 성공

중국산 철강 후판 덤핑 방지 관세 부과

두산그룹 육아휴직 서포터즈 지원금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