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계산 예시와 세금 줄이는 꿀팁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궁금해하는 것이 바로 퇴직금입니다.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근무 후 회사를 떠날 때 지급받는 중요한 권리인데요. 그러나 계산 방식이나 세금 부과 방법은 의외로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퇴직금 계산 예시와 함께 실제로 세금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퇴직금 계산 기본 공식
퇴직금은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365)**라는 기본 원칙을 따릅니다.
여기서 핵심은 ‘평균임금’을 어떻게 산정하느냐인데, 이는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총 임금(기본급 + 상여금 + 수당 등)을 해당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한 근로자가 최근 3개월 동안 총 900만 원을 받았다면, 이를 90일로 나누면 평균임금은 10만 원이 됩니다. 따라서 1년(365일)을 근속한 경우 퇴직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평균임금: 10만 원
- 30일분 임금: 300만 원
- 근속기간 1년 → 300만 원이 퇴직금
만약 5년간 근속했다면 단순히 300만 원 × 5년 = 1,500만 원이 됩니다.
2. 퇴직금 계산 예시 (실제 상황 가정)
가령 A 씨가 회사에서 7년간 근무했고, 최근 3개월 동안 받은 총 임금이 1,200만 원이라고 해보겠습니다.
- 평균임금 = 1,200만 원 ÷ 90일 = 약 13만 3천 원
- 30일분 임금 = 약 399만 원
- 근속연수 7년 → 399만 원 × 7년 = 약 2,793만 원
즉, A 씨가 수령할 퇴직금은 약 2,800만 원 수준입니다.
3. 퇴직금에 부과되는 세금 구조
퇴직금은 일반 급여와는 다른 방식으로 과세됩니다. 퇴직소득세라는 별도 세금이 적용되며, 계산 과정에서 근속연수에 따른 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즉, 오래 근무할수록 세금 부담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퇴직소득세 계산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퇴직금 총액 산출
- 퇴직소득공제(근속연수별 공제) 적용
- 5년 이하: 연 120만 원
- 5~10년: 연 500만 원 + 초과연수 × 80만 원
- 10년 초과: 연 900만 원 + 초과연수 × 120만 원
- 과세표준 산정 후 누진세율 적용
- 산출세액을 근속연수로 나눠 연간 과세소득으로 환산
- 최종적으로 원천징수세액 확정
4. 세금 예시로 이해하기
앞서 계산한 A 씨(퇴직금 약 2,800만 원, 근속 7년)의 경우를 보겠습니다.
- 퇴직소득공제: 5년까지는 120만 원 × 5년 = 600만 원,
이후 2년은 연 80만 원씩 → 160만 원 추가,
총 760만 원 공제 - 과세대상 금액: 2,800만 원 – 760만 원 = 2,040만 원
- 이 금액을 7년으로 나누어 연 환산 소득 계산 후 누진세율 적용
- 실제 세금은 대략 수백만 원 수준으로 원천징수됨
즉, 퇴직금 전액이 과세되는 것이 아니라 공제를 거쳐 줄어든 금액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실제 수령액은 대부분 90% 이상 보전됩니다.
5. 퇴직금 세금 줄이는 팁
- 근속기간을 길게 가져가기 → 장기근속 시 공제액이 커져 실수령액 증가
- 퇴직소득세 연금 수령 전환 →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를 활용하면 세금을 이연하거나 절감 가능
- 중도 퇴직 시기 조율 → 연말 정산과 겹치는 시기를 피해 세금 효율을 높이는 방법
마무리
퇴직금은 단순히 퇴사할 때 받는 돈이 아니라, 법적으로 보장된 근로자의 권리이자 중요한 노후 자금입니다. 계산 공식은 비교적 단순하지만, 세금 부분은 조금 복잡하므로 정확히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IRP 계좌 활용과 같은 절세 전략을 잘 활용하면 더 많은 금액을 온전히 가져갈 수 있습니다.
앞으로 퇴직을 계획하고 있거나 이직을 고려하는 분들이라면, 위의 퇴직금 계산 예시와 세금 구조를 꼭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댓글
댓글 쓰기